국도 42호선. 이 국도가 어디로 이어지는 지는 얼마나 중요하지 않지만 어쨌든 나는 지금 좀 난감하다. 변속기의 플러스 마이너스를 딸각이며 실상으로 보자면 액추에이터가 대신 해주는 변속을 즐기는 꼴은 마치 내가 운전 조무사가 된 느낌이었다. 그렇게 나는 309번 턴파이크로 들어간다. 어디쯤에서 운전대를 꺾어야 하는지는 도로의 모양이 말해주고 있다. 그렇게 나는 어느새 청계산 자락의 어느 풍경을 지나 잠시 배가 고파져서 의왕톨게이트에 차를 세운다. 직각주차에 익숙하지 않기에 미안하지만 남의 차를 긁는 동시에 내 차도 긁었겠지. 그렇게 편의점으로 들어가 킷캣 하나, 민트 카페라떼 하나 사서 좀 마시고 있다가 자기 차가 긁혔다고 짜증내며 그대로 서울 방면으로 차를 몰고 가는 얼간이 새끼가 떠났고 나는 내가 타..
'엄청 미인형이고 차분하고 냉정한 성격이고 말수 적고 컬러링이 차가운 색으로 되어 있으면 사실 그 정체는 고성능 안드로이드다'라고 하는 암묵의 룰은 당최 왜 그런건가. 그것은 하이테크를 의미하는 청록색이 어두운 계열이고 인공지능이 사람과 접촉하면서 상황에 따른 감정을 학습하기 전까지는 감정이 결여되어 있고 안드로이드는 따지자면 자동인형이니 원하는 미인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 아닐까나. 그렇다면 왜 안드로이드 캐릭터는 남성형보다 여성형이 더 많지? 안드로이드 캐릭터를 보면 인간을 보조하는 기계인형에 충실한 나머지 인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부족한 천연계 유형이 있고 인간의 모습을 했지만 본질은 기계인형인 무감정계 유형이 있는데 왠지 같은 공간에 있으면 서로 충돌할 듯해. "무감정계: 당신에게 논리회로란..
기계와 나를 연결하는 선에는 과전류가 흘렀다. 그냥 서로 사는 것이 지겨워 조금이나마 이질적인 존재가 되는 것은 고장에서 자유롭지 못해서 항상 정신을 잃고 수리당하기를 몇 번째 하면 이제는 이런 상황은 뭐, 어쨌든 익숙해버려져야 한다. 그러는 상황에 익숙해지는 사이에 나는 완전히 로봇과 같은 존재가 되어버려 '나'라는 것은 결국 '나의 뇌'를 지칭하는 것이지 '나의 몸'을 지칭하지는 않는 것으로 되어버리고 사람이 아닌 인형으로 취급되지만 사람이었을 때보다 소중히 다뤄지는 반어가 있었다. 그 반어 속에서 물리적으로 유리되기 직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묻는다면 아플리 없는 머리가 지끈거린다할 정도라면 이해할까. 사람으로 살면서 사람들은 적어도 서로 편가르기 좋아하고 본질이 사람인 나도 그곳에서 평생 자유롭지..
- Total
- Today
- Yesterday